동구 (울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구 (울산광역시)는 울산광역시의 구로, 신라 시대 율포현의 일부였다. 이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88년 동구로 승격되었으며, 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동구는 동해안을 접하고 있으며, 마골산을 주산으로 하는 지형적 특징을 가진다. 주요 산업은 조선업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해 있다. 인구는 1990년대 이후 조선업 호황으로 증가했으나 2010년대 조선업 불황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소폭 증가했다. 관광 명소로는 일산해수욕장과 대왕암공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 - 남목동
남목동은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초기에는 남옥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울산대학교병원, 현대중공업 등 주요 기업과 여러 기관 및 교육기관이 위치한 지역 경제와 교육의 중심지이다. - 울산 동구 - 방어진
방어진은 고려 시대 왜구 방어 수로진인 '방어진(防禦陣)'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는 방어가 많이 잡히는 '방어진(魴魚津)'으로 불렸고, 초기에는 목장이 설치되기도 했으며, 일제강점기 초 '방어(方魚)'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 울산 동구 - 대왕암공원
울산 동구에 위치한 대왕암공원은 문무왕비 전설이 깃든 대왕암과 울기등대, 낙화암 쌍바위 등의 볼거리와 화강암 지형, 해안 경관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며 미르놀이터, 출렁다리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해안 공원이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북구 (울산광역시)
울산 북구는 1997년 울산광역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었으며,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울산공항, 북울산역 등의 교통 시설과 정자해수욕장, 강동몽돌해변 등의 관광 명소를 포함한다.
동구 (울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동구 |
로마자 표기 | Dong-gu |
한자 표기 | 東區 |
유형 | 자치구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광역 자치 단체 | 울산광역시 |
![]() | |
![]() | |
행정 | |
시장 | 김종훈 (진보당) |
국회의원 |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동구)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동 |
구청 소재지 | 울산광역시 동구 봉수로 155 |
면적 | |
전체 면적 | 36 km² |
인구 | |
총 인구 (2024년) | 151,067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경상도 |
기타 | |
웹사이트 | 동구청 |
2. 역사
신라시대에는 현재의 북구 강동동에 치소를 둔 율포현(栗浦縣)의 일부였다. 율포현은 757년에 동진현(東津縣)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흥례부(興禮府)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수로진의 의미로 방어진(防禦陣)이라 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방어가 많이 잡히는 나루터라는 의미로 방어진(魴魚津)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는 사복시 관할의 목장을 두고 방어진목장(魴魚津牧場)이라 하였다. 울산에 면리제가 시행되면서 동면 유등포리, 현종 대에는 유포면(柳浦面, 북구 강동동)에 속해 있다가 숙종 대에 목장 관할 구역을 분리해 동면(東面)이 되었다.
개편 전 | 개편 후 |
---|---|
방어동(方魚洞), 상화잠동(上花岑洞), 하화잠동(下花岑洞) | 방어리(方魚里) |
월산동(月山洞) | 일산리(日山里) |
화정리(華亭里) | |
전하동(田下洞), 월산동(月山洞) 일부 | 전하리(田下里) |
미포리(尾浦里), 동부동(東部洞) 일부 | 미포리(尾浦里) |
서부동(西部洞), 대편동(大片洞) | 서부리(西部里) |
동부동(東部洞) | 동부리(東部里) |
주전동(朱田洞) | 주전리(朱田里) |
염포동(鹽浦洞), 심청동(深淸洞) | 염포리(鹽浦里) |
- 1925년 12월 6일 면사무소를 방어리로 이전하였다.
- 1931년 4월 1일 동면을 방어진면(方魚津面)으로 개칭하였다.[5]
-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方魚津邑)으로 승격하였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방어진읍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면서 울산시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6]
-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방어진출장소 관할 구역에 5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염포동은 병영출장소 관할이 되었다.[7]
- 1979년 1월 1일 남목동을 남목1동과 남목2동으로 분동하였다.[8]
- 1983년 5월 1일 전하동을 전하1동과 전하2동으로 분동하였다.[9]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중구에 편입되어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10]
- 1985년 8월 10일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시 직할 방어진출장소로 승격하였다.[11]
- 1985년 10월 15일 일산동을 일산동과 화정동으로 분동하였다.[12]
-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하였다.[13]
- 1992년 1월 20일 화정동을 화정동과 대송동으로 분동하였다.[14]
- 1995년 3월 2일 전하2동을 전하2동과 전하3동으로, 남목1동을 남목1동과 남목3동으로 분동하였다.[15]
- 1995년 8월 22일 동구청 소재지를 방어동 413-1번지[16]에서 화정동 222번지로 이전하였다.[17]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동구 자치구 출범, 중구 염포동이 동구에 편입되었다.[18]
- 1998년 3월 1일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되었다.[19]
- 1998년 10월 1일 주전동을 남목3동에 편입하였다.[20]
- 2009년 1월 1일 전하3동을 전하2동에 편입하였다.[21]
2. 1. 구의 역사
신라시대에는 현재의 북구 강동동에 치소를 둔 율포현(栗浦縣)의 일부였다. 율포현은 757년에 동진현(東津縣)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흥례부(興禮府)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수로진의 의미로 방어진(防禦陣)이라 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방어가 많이 잡히는 나루터라는 의미로 방어진(魴魚津)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는 사복시 관할의 목장을 두고 방어진목장(魴魚津牧場)이라 하였다. 울산에 면리제가 시행되면서 동면 유등포리, 현종 대에는 유포면(柳浦面, 북구 강동동)에 속해 있다가 숙종 대에 목장 관할 구역을 분리해 동면(東面)이 되었다.개편 전 | 개편 후 |
---|---|
방어동(方魚洞), 상화잠동(上花岑洞), 하화잠동(下花岑洞) | 방어리(方魚里) |
월산동(月山洞) | 일산리(日山里) |
화정리(華亭里) | |
전하동(田下洞), 월산동(月山洞) 일부 | 전하리(田下里) |
미포리(尾浦里), 동부동(東部洞) 일부 | 미포리(尾浦里) |
서부동(西部洞), 대편동(大片洞) | 서부리(西部里) |
동부동(東部洞) | 동부리(東部里) |
주전동(朱田洞) | 주전리(朱田里) |
염포동(鹽浦洞), 심청동(深淸洞) | 염포리(鹽浦里) |
- 1925년 12월 6일 면사무소를 방어리로 이전하였다.
- 1931년 4월 1일 동면을 방어진면(方魚津面)으로 개칭하였다.[5]
-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方魚津邑)으로 승격하였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방어진읍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면서 울산시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6]
-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방어진출장소 관할 구역에 5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염포동은 병영출장소 관할이 되었다.[7]
- 1979년 1월 1일 남목동을 남목1동과 남목2동으로 분동하였다.[8]
- 1983년 5월 1일 전하동을 전하1동과 전하2동으로 분동하였다.[9]
-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중구에 편입되어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10]
- 1985년 8월 10일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시 직할 방어진출장소로 승격하였다.[11]
- 1985년 10월 15일 일산동을 일산동과 화정동으로 분동하였다.[12]
-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하였다.[13]
- 1992년 1월 20일 화정동을 화정동과 대송동으로 분동하였다.[14]
- 1995년 3월 2일 전하2동을 전하2동과 전하3동으로, 남목1동을 남목1동과 남목3동으로 분동하였다.[15]
- 1995년 8월 22일 동구청 소재지를 방어동 413-1번지[16]에서 화정동 222번지로 이전하였다.[17]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동구 자치구 출범, 중구 염포동이 동구에 편입되었다.[18]
- 1998년 3월 1일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되었다.[19]
- 1998년 10월 1일 주전동을 남목3동에 편입하였다.[20]
- 2009년 1월 1일 전하3동을 전하2동에 편입하였다.[21]
2. 2. 신라 왕과 일산동
일산동(日山洞)의 지명은 본래 일산(日傘)이었다. 日傘의 뜻은 햇빛을 막는 큰 양산이라는 뜻으로, 신라 왕이 여름에 일산해수욕장 일대를 찾아 큰 일산을 쓰고 놀았다고 하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일산해수욕장 우측에 있는 대왕암 공원은 문무 대왕의 왕비가 문무 대왕이 호국의 뜻을 갖고 경주 양남 대왕암에 묻힌 것을 따라 묻힌 곳이었다고 알려져 있다.2. 3. 동축사
삼국유사에는 573년 인도 아소카왕이 보낸 편지와 황금, 황철을 실은 배가 아곡현(신라 시대 울산의 지명) 사포 지역에 도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소카왕의 바람대로 신라왕은 황금, 황철로 장륙존상을 만들어 황룡사에 모셨다. 모형으로 만든 불상은 아곡현의 한 마른 언덕 지역(마골산)에 절을 짓고 모셨는데, 이 절이 동축사라고 한다. '동축'은 동쪽의 인도라는 뜻으로, 아소카왕이 다스리는 나라가 '서축'이라면 신라는 동쪽의 인도, 즉 동축이라는 인식이 담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3. 지리
동해안을 끼고 내려오는 동부산지괴의 동대산맥 여러 산들 가운데 마골산이 동구 지역의 주산이 된다.[22] 마골산과 엇비슷한 높이의 연봉들이 동구 지역의 서쪽과 북쪽을 병풍처럼 두르면서 방어진 반도를 이루었다가, 동해로 침몰하게 된다.[22] 동구 지역은 산지가 53%로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산으로부터 바다까지의 거리도 짧다.[22] 동구 지역의 산들은 오랫동안에 걸친 외부의 침식을 받아 산세가 가파르거나 험하지 않고 완만하여 구릉지대를 연상시킨다.[22] 동구 지역은 길게 뻗은 산자락의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길이가 짧고, 폭도 좁다.[22] 여기에다 낮은 지대는 거의가 공장이나 주거지로 변모하면서 그나마 몇 개 흐르던 하천마저 거의 복개되고 말아, 동구 지역 주민들은 강이나 하천의 존재를 거의 못 느끼지 못하지만, 넓은 동해 바다를 품고 살아가고 있다.[22]
3. 1. 지형
동해안을 끼고 내려오는 동부산지괴의 동대산맥 여러 산들 가운데 마골산이 동구 지역의 주산이 된다.[22] 마골산과 엇비슷한 높이의 연봉들이 동구 지역의 서쪽과 북쪽을 병풍처럼 두르면서 방어진 반도를 이루었다가, 동해로 침몰하게 된다.[22] 동구 지역은 산지가 53%로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산으로부터 바다까지의 거리도 짧다.[22] 동구 지역의 산들은 오랫동안에 걸친 외부의 침식을 받아 산세가 가파르거나 험하지 않고 완만하여 구릉지대를 연상시킨다.[22] 동구 지역은 길게 뻗은 산자락의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길이가 짧고, 폭도 좁다.[22] 여기에다 낮은 지대는 거의가 공장이나 주거지로 변모하면서 그나마 몇 개 흐르던 하천마저 거의 복개되고 말아, 동구 지역 주민들은 강이나 하천의 존재를 거의 못 느끼지 못하지만, 넓은 동해 바다를 품고 살아가고 있다.[22]3. 2. 하천
동구는 동해안을 끼고 내려오는 동부산지괴의 동대산맥 여러 산들 가운데 마골산이 주산이 된다.[22] 이 마골산과 엇비슷한 높이의 연봉들이 동구 지역의 서쪽과 북쪽을 병풍처럼 두르면서 방어진 반도를 이루었다가, 동해로 침몰하게 된다.[22] 동구는 산지가 53%로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산으로부터 바다까지의 거리도 짧다.[22] 동구의 산들은 오랫동안에 걸친 외부의 침식을 받아 산세가 가파르거나 험하지 않고 완만하여 구릉지대를 연상시킨다.[22] 동구는 길게 뻗은 산자락의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길이가 짧고, 폭도 좁다.[22] 여기에다 낮은 지대는 거의가 공장이나 주거지로 변모하면서 그나마 몇 개 흐르던 하천마저 거의 복개되고 말아, 동구 주민들은 강이나 하천의 존재를 거의 못 느끼지 못하지만, 넓은 동해 바다를 품고 살아가고 있다.[22]4. 정치·행정
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행정동 | 법정동 |
---|---|
방어동 | 방어동 |
일산동 | 일산동 |
화정동 | 화정동 |
대송동 | |
전하1동 | 전하동, 미포동 |
전하2동 | 전하동 |
남목1동 | 동부동, 서부동 |
남목2동 | 서부동 |
남목3동 | 주전동, 미포동, 동부동 |
역대 동구청장에 대한 정보는 울산 동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현재 동구의 국회의원은 권명호이다.
경상남도 울산시 동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회의원 3명을 선출하고 있다.
4. 1. 구청장
역대 동구청장에 대한 정보는 울산 동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4. 2. 국회의원
현재 동구의 국회의원은 권명호이다.4. 3. 광역의원
경상남도 울산시 동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회의원 3명을 선출하고 있다.5. 행정 구역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은 9개 행정동, 210통 1,352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6.03km2로 울산시 전체 면적의 3.4%를 차지한다.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동구의 인구는 67,951세대, 183,587명으로, 시 전체 인구의 15.63%를 차지한다.[23] 동구 전체 면적의 36.6%인 13.19km2는 개발제한구역이다.[23]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방어동 | 方魚洞 | 6.03 | 17,230 | 45,729 |
일산동 | 日山洞 | 2.08 | 3,690 | 7,786 |
화정동 | 華亭洞 | 1.30 | 7,535 | 18,511 |
대송동 | 大松洞 | 2.53 | 5,683 | 15,290 |
전하1동 | 田下1洞 | 5.13 | 6,955 | 18,319 |
전하2동 | 田下2洞 | 1.00 | 8,337 | 24,522 |
남목1동 | 南牧1洞 | 4.99 | 4,136 | 11,648 |
남목2동 | 南牧2洞 | 4.37 | 9,241 | 26,967 |
남목3동 | 南牧3洞 | 8.59 | 5,144 | 14,815 |
동구 | 東區 | 36.02 | 67,951 | 183,587 |
동구는 방어동, 대송동, 화정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남목3동의 9개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각 행정동의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방어동 | 방어동 |
일산동 | 일산동 |
화정동 | 화정동 |
대송동 | |
전하1동 | 전하동, 미포동 |
전하2동 | 전하동 |
남목1동 | 동부동, 서부동 |
남목2동 | 서부동 |
남목3동 | 주전동, 미포동, 동부동 |
5. 1. 행정동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은 9개 행정동, 210통 1,352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6.03km2로 울산시 전체 면적의 3.4%를 차지한다.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동구의 인구는 67,951세대, 183,587명으로, 시 전체 인구의 15.63%를 차지한다.[23] 동구 전체 면적의 36.6%인 13.19km2는 개발제한구역이다.[23]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방어동 | 方魚洞 | 6.03 | 17,230 | 45,729 |
일산동 | 日山洞 | 2.08 | 3,690 | 7,786 |
화정동 | 華亭洞 | 1.30 | 7,535 | 18,511 |
대송동 | 大松洞 | 2.53 | 5,683 | 15,290 |
전하1동 | 田下1洞 | 5.13 | 6,955 | 18,319 |
전하2동 | 田下2洞 | 1.00 | 8,337 | 24,522 |
남목1동 | 南牧1洞 | 4.99 | 4,136 | 11,648 |
남목2동 | 南牧2洞 | 4.37 | 9,241 | 26,967 |
남목3동 | 南牧3洞 | 8.59 | 5,144 | 14,815 |
동구 | 東區 | 36.02 | 67,951 | 183,587 |
동구는 방어동, 대송동, 화정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남목3동의 9개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각 행정동의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방어동 | 방어동 |
일산동 | 일산동 |
화정동 | 화정동 |
대송동 | |
전하1동 | 전하동, 미포동 |
전하2동 | 전하동 |
남목1동 | 동부동, 서부동 |
남목2동 | 서부동 |
남목3동 | 주전동, 미포동, 동부동 |
6. 인구
wikitext
울산광역시 동구의 인구는 1990년대 이후 조선업 호황으로 증가하였으나, 2010년대 들어 조선업 불황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5년에는 소폭 증가하였다.
6. 1. 연도별 인구 추이
7. 교육 기관
'''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동부캠퍼스가 동구에 있다.
'''고등학교'''
울산광역시강북교육지원청 관할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7. 1. 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동부캠퍼스가 동구에 있다.7. 2. 고등학교
울산광역시강북교육지원청 관할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8. 경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HD현대의 핵심 계열사로서 동구에 위치해 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조선 산업은 심각한 침체를 겪으면서 현대중공업의 일부 사업부 분사 및 일부 시설의 타 지역 이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인구 감소와 평균 소득의 소폭 하락이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은 경제적 지위 측면에서 전국 상위 20위 안에 든다. 2020년대 들어 조선업 회복의 조짐이 나타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반등의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9. 자매 결연
지역 | 도시 |
---|---|
경기도 | 군포시 (2021년) |
광주광역시 | 서구 (1999년) |
9. 1. 국내 자매 도시
경기도 군포시는 2021년부터 동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광주광역시 서구는 1999년부터 동구와 자매결연 관계에 있다.지역 | 도시 |
---|---|
경기도 | 군포시 (2021년) |
광주광역시 | 서구 (1999년) |
10. 관공서
10. 1. 경찰
울산동부경찰서는 방어진지구대, 전하지구대, 남목파출소, 서부파출소, 일산치안센터를 관할한다.10. 2. 소방
동부소방서는 화암119안전센터, 화정119안전센터, 전하119안전센터를 관할한다.11. 관광
동구의 관광 명소로는 일산해수욕장과 대왕암공원 등이 있다.
일산해수욕장은 동구 일산동에 위치한 동해안에 접한 해수욕장이다.
대왕암공원은 동구 일산동 등대길 100에 위치한 공원이다. 이곳은 신문왕의 어머니인 자비대왕후가 죽어서도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되기를 바라며 바위섬 아래에 묻혔다는 곳으로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2호
1930-12-01
[6]
법률
울산시 조례 제2호
1962-05-30
[7]
법률
울산시 조례 제310호
[8]
법률
울산시 조례 제597호
1978-12-30
[9]
법률
울산시 조례 제914호
[10]
법률
울산시 조례 제1083호
[11]
법률
울산시 조례 제1104호
1985-08-03
[12]
법률
울산시 조례 제1115호
1985-10-04
[13]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4]
법률
울산시 조례 제1536호
1992-01-06
[15]
법률
울산시 조례 제157호
[16]
문서
現 방어동 행정복지센터 위치
[17]
법률
울산시 조례 제183호
1992-08-22
[18]
법률
법률 제5234호 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6-12-31
[19]
법률
대통령령 제15652호
1998-02-24
[20]
법률
동구 조례 제105호
[21]
법률
동구 조례 제446호
2008-12-11
[22]
웹사이트
2011년 통계연보
http://www.donggu.ul[...]
2012-08-05
[23]
웹사이트
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http://stat.kosis.kr[...]
2015-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